본문 바로가기

재무제표

[재무제표9] 주식투자를 위한 현금흐름표 분석방법(현금흐름표의 구성) 재무제표중 현금흐름표는 주식투자에 있어 손실을 막기위해 필수적으로 분석해야하는 항목이다. 하지만 현금흐름표를 구성하는 항목이 매우 다양하여 많은 투자자들이 재무제표 분석시 현금흐름표를 등한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번시간에는 현금흐름표의 구성 및 어떠한 방법으로 현금흐름표를 분석해야하는지를 알아보도록하자. 현금흐름표는 크게 세가지 계정으로 구성되어있다. 1) 영업활동현금흐름 2) 투자활동현금흐름 3) 재무활동현금흐름 각 계정의 세부계정들은 기업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크게 이 세개의 계정은 모든 기업이 공통적으로 명시하는 계정이다. 현금흐름표를 분석할 때 가장 유념해야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영업활동현금흐름은 플러스, 투자활동현금흐름은 마이너스, 재무활동현금흐름은 마이너스인 기업이 .. 더보기
[재무제표8] 주식투자를 위한 현금흐름표 읽는법(현금흐름표를 알아야하는 이유) 재무제표 분석과정에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등 중요한 계정들이 많지만, 현금흐름표만큼은 걸러야할 기업을 알기위해 분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 주린이들은 현금흐름표를 읽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 이유는 현금흐름표를 구성하는 계정이 워낙 많고 방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며칠에 걸쳐 작성할 듯 하다) 현금흐름표 분석법을 알아보므로써 어려운 현금흐름표를 좀 더 효율적이게 읽는 방법을 알아보도록하자. 삼성전자의 현금흐름표를 가져와봤다. 계정의 이름부터가 어려울 정도로 복잡해보인다. 우선 현금흐름표를 알아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당기순이익과 현금유출입의 차이점을 분석해야한다. 말이 어려우니 예를들어 설명해보자. 만약 A기업이 원재료를 현금 10억에 사와서 제품을 만든 후 100.. 더보기
[재무제표5] 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상태표 읽는법(부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재무제표의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중 부채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부채라는 이야기를 들었을때 우리는 빚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재무제표에서의 부채는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빚으로는 설명이 다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회계학적으로 부채란 기업이 이행해야할 경제적 의무를 의미한다. 말이 조금 어렵긴하지만 부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하나하나 보며 이해하면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다. 부채는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성되어있다. 유동부채란 1년이내에 상환의 의무가 주어져 있는 부채를 의미하며, 비유동부채는 유동부채가 아닌 부채로 생각하면 쉽다. 유동부채, 비유동부채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기업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는데 대표적인 몇가지 부채의 구성을 알아보자... 더보기
[재무제표4] 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상태표 읽는법(비유동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기업의 미래에 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자원인 자산, 그중에서도 비유동자산에 대해 알아보도록하자. 주식투자를 위해 집중하여 분석해야할 비유동자산의 항목은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이다. 유형자산은 생산설비, 공장, 건물, 토지, 차량 등 기업에서 소유하고있는 실물자산을 의미한다. 반면에 무형자산은 영업권, 연구개발비와 같이 실물이 존재하진 않지만 기업의 잠재적 이익창출에 도움이 되는 자산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1. 유형자산 주식투자를 위해 기업의 유형자산을 분석할 때 염두해두어야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일반적인 제조업의 경우 유형자산은 매출액 대비 30~60%가 일반적이다. - 즉 일반적인 제조업에서 매출액대비 유형자산의 비율이 과도하게 높.. 더보기
[재무제표3] 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상태표 읽는 방법 (자산, 유동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운전자본, 매출채권, 재고자산을 중심으로) 재무제표는 크게 1. 재무상태표, 2. 포괄손익계산서, 3. 자본변동표, 4. 현금흐름표, 5.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의 규모를 나타내고 특정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어 주식투자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분석하는 재무상태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재무상태표의 구성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되어있다. 1) 자산 : 과거의 거래 등에 의해 현재 기업에 의해 지배되며 기업에 미래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자산은 부채+자본이다. 2) 부채 : 타인의 자본(이행해야할 경제적 의무) 3) 자본 : 자기자본(주주로부터 출자받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및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해 쌓은 이익잉여금 등이 해당한다.) 자산, 부채, 자본의 관계는 .. 더보기
[재무제표2] 재무제표 조회방법, 재무제표 보는곳(feat. DART, 네이버금융) 주식공부를 시작하기 위해 재무제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람들에게 큰 관문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재무제표 조회방법. 그래서 본격적인 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분석 공부를 하기 전에 어디에서 재무제표를 조회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전자공시시스템 DART를 통한 재무제표 조회 우선 구글이나 네이버 등 검색엔진에 DART를 검색하면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인 DART가 나온다. 그렇다면 DART란 무엇인가? DART는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의 약자로 '상장법인 등이 공시서류를 인터넷으로 제출하고 투자자 등 이용자는 제출 즉시 인터넷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 기업 공시 시스템이다. 즉, DART를 통해 상장회사의 모든 공시자.. 더보기
[재무제표1]주식투자의 기본, 기업의 재무제표 최근 주식시장 떡상에 따른 개미들의 주식시장 유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내 주변만 보더라도 평소 주식은 쳐다보지도 않던 사람들이 하나둘 주식에 흥미를 갖기 시작하였고, 어린나이의 친구들도 시드를 몰빵하여 수천만원 단위의 자금을 굴리는 것을 보며 '이래도 되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장이 좋아 돈만 넣으면 수익을 얻을 수 있겠지만 이런 호황장이 언제까지라도 지속된다는 보장은 아무데도 없다. 특히 많은 전문가들은 올해 초까지는 장이 좋을것으로 전망을 하지만 중순, 하반기를 넘어가며 장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는 케이스가 많다. 물론 이렇게 장이 좋을때 단타로 치고 빠지며 돈을 버는것도 좋은 전략중 하나이나, 이는 단기적인 수익만 얻을 뿐 진정한 투자라고 보기 어렵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정한 경.. 더보기